머위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등지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낮은 산과 들판의 습지에서 자라며 번식력이 강하다. 우리나라에서 좋아하는 산나물 중 하나로 농약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재배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친환경 농산물로 주목받고 있다.
머위는 '잎이 먹물처럼 짙푸르다.'는 뜻을 가졌고 꽃이 피는 나물이라고 하며, 지방마다 부르는 이름이 다른데 제주도에서는 꼼치, 일부 지방에서는 머윗대라 부른다. 이름이 다양한 것을 보면 우리 선조들이 오래전부터 즐겨 먹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한방에서는 꽃을 관동 화라고 하여, 약재로 사용하고 뿌리, 잎, 줄기 모두 버릴 것 없이 식용과 약용으로 쓰이고 있다.
또한 머위는 약간의 쓴맛이 있으면서 특유의 향기가 있어 토종 허브라고도 불린다. 봄에는 연한 잎과 줄기를 나물로 먹으며 봄 이후 가을까지는 잎이 크고 억세져 머윗대 겉껍질을 벗겨 데쳐 먹는다. 잎을 먹을 수 있는 봄은 잠깐이지만 줄기는 가을까지 먹으며 특유의 향과 감칠맛으로 줄기 요리를 더 즐긴다.
1. 머위의 영양과 효능
머위는 수분이 89%, 탄수화물이 6%로 비타민 A가 많으며 칼슘, 인, 철 등의 무기질도 풍부한 알칼리성 식품이다. 머위는 산성으로 변해가는 체질을 중화시키며 미네랄과 섬유소가 풍부하여 제철에 꾸준히 섭취하면 골다공증과 변비 예방에 좋다.
머위에 풍부한 퀘르세틴은 피부를 보호해 주는 효능이 뛰어나 피부의 염증이나 아토피 등의 치료에 도움을 줍니다. 또 머위에 함유되어 있는 비타민 A는 피부노화 방지에도 좋다. 씁쓸한 맛을 내는 페타시딘 과 이소 페타시딘 등이 함유되어 있고 잎은 플라보노이드와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다. 그리고 머위는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나물로 먹거나 간혹 뱀이나 벌레에 물린 상처를 치료할 때 사용되기도 하지만 독일, 스위스, 프랑스에서는 머위가 항암 작용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항암제로 개발할 정도로 그 효능을 인정받고 있다.
2. 머위의 종류와 구입법 및 보관법
- 종류 : 머위의 종류로는 털머위가 있으며 털머위는 잎도 나물로 먹고 습진이나 부스럼 등에 효과적이다.
- 구입법 : 잎은 진한 녹색을 가진 것이 좋고 머위의 줄기가 너무 굵거나 가늘지 않고 통통한 것을 고른다.
- 보관법 : 줄기를 삶아 껍질을 벗긴 머위는 찬물에 담가 쓴맛을 우려낸 후 물기를 빼서 비닐봉지에 담아 냉동실에 보관한다.
3. 머위의 음식 궁합
- 들깨 : 섬유소가 많은 머위를 들깨즙과 조리하면 머위의 맛이 부드러워지고 들깨의 불포화지방산으로 콜레스테롤 제거와 성인병 예방에 좋다.
- 붕어 : 머위와 함께 먹으면 붕어의 비위 기능 보강 작용이 상승하고 붕어를 먹고 식중독을 일으키지 않게 예방한다.
- 육류 : 소화가 더 잘되고 소화불량 증상을 개선한다.
- 호박 : 호박과 머위를 배합하면 기침을 가라앉히고 긴장의 기능을 보호한다. 머위잎이나 어린 꽃대, 또는 꽃에도 같은 성분이 들어 있으므로 함께 배합해도 효과적이다.
4. 머위의 요리 방법
- 머윗대 무침 : 머윗대를 삶아서 겉 줄기를 벗기고 적당한 길이로 자른다. 두부를 곱게 으깬 뒤 삶아 놓은 머윗대와 양념하여 섞은 뒤 간을 맞춘다.
- 머위 나물무침 : 머위잎은 어리고 부드러운 것을 다듬어 끓는 물에 데쳐서 물기를 뺀 뒤 양념을 넣어 무친다.
- 머위 쌈 : 새순이나 어린잎을 끓는 물에 살짝 데친다. 물에 하루 정도 담가 쓴맛을 우려낸 뒤 된장, 초고추장에 찍어 먹거나 쌈으로 먹는다.
- 머위장아찌 : 물에 담가두었던 머위(머위 특유의 쓴맛을 줄이기 위해 하루 정도 물에 담가 사용하는 것이 좋다.)는 체에 밭친 뒤 냄비에 물과 약간의 소금을 넣고 데쳐 물기를 꽉 짜준다. 물, 간장, 설탕, 식초, 슬라이스 마늘을 냄비에서 끓여 식혀 장아찌 간장을 만든 뒤 용기에 머위와 함께 넣어 보관한다.
- 들깨즙 머위나물 : 머위를 데친 뒤 적당히 썰어 간을 해서 들기름으로 볶는다. 육수를 넣고 끓이다가 들깻가루를 넣는다.
- 머위 쌈밥 : 머위잎은 소금과 물을 넣고 데친 뒤 물기를 짜서 준비한다. 밥은 참기름, 통깨, 맛소금을 넣고 간을 하여 준비하고 배추김치를 볶는다. 모든 재료가 준비되었으며 머위잎에 밥과 볶은 김치를 올려 쌈밥으로 만들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