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1 콜라젠과 젤라틴이 풍부한 11월 식재료 대구 대구는 대구에 속하는 한대성 심어 해로 우리나라 일본, 오츠크해, 베링해 등에 분포하며, 수심 150~200m 전후에서 서식하고 몸길이가 60~100cm로 명태보다 대형이고 대가리는 크고 아래턱은 위턱보다 짥다. 등은 갈색 또는 회갈색이고 배는 희며 등이나 배에 많은 갈색 반문이 산재하여 있다. 대구나 명태는 모두 겨울에 제맛이 나는데, 명태의 맛이 대구보다는 좀 떨어진다. "눈 본 대구 비 본 청어"라고 해서 눈 내리는 겨울엔 대구가, 비 내리는 봄엔 청어가 많이 잡힌다는 속담이다. 대구는 12월부터 이듬해 2월이 산란기로 제철이다. 대구는 입이 크다 해서 붙은 이름으로 명태, 조기, 갈치와 더불어 대표적인 흰 살 생선이며 비린 맛을 싫어하는 사람들은 대구를 선호한다. 대구의 눈알은 영양가가 높아 고급.. 2025. 4. 16. 알고 먹으면 약이 되는 가을의 선물 은행 은행은 은행나무의 낙엽교목으로 중국이 원산지이며 우리나라와 일본 등에 분포되어 있다. 은행은 열매가 맺기까지 수십 년이 걸리기 때문에 할아버지 때 심은 나무의 열매를 손자가 먹게 되어 이름을 공손수라 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경기도 양평군에 위치한 용문사 앞의 은행나무가 가장 나이가 많다고 하는데 1,100살이 넘는다. 중국의 공자가 은행나무 아래서 제자를 가르친 정신이 상징되어 조선시대에는 서원, 성균관, 향교 등 유학자가 거주하는 공간에는 거의 은행나무가 있다. 은행나무는 여러 가지 이점이 있어 정자 목, 풍치 수로써 가로수로 많이 심었고 한약재로는 '백과'라 하여 천식, 기침의 약재로 쓰였으며 요리와 영양제의 재료로도 쓰이고 있다. 1. 은행의 영양과 효능은행은 탄수화물의 함량이 많으며 대부분이 전.. 2025. 4. 14. 머리를 맑게 해주는 다섯 가지 맛을 가진 오미자 오미자는 낙엽 활엽 덩굴식물이며 열매는 거의 둥글고 포도송이처럼 달린다. 전국 산기슭 특히 돌이 많은 비탈진 곳에서 서식하며 한국과 일본, 중국, 러시아 동북부에 분포되어 있다. 쓴맛, 신맛, 단맛, 짠맛, 매운맛 등 다섯 가지 맛을 가졌다고 해서 오미자라고 한다. 빨갛게 익은 열매를 가을에 채취하여 시루에 찐 뒤 햇볕에 말려서 사용하며 말린 열매를 물에 담가 붉은 물을 우려낸 뒤 화채 국물로 쓰거나 차를 끓여 마신다고 하여, 한방에서는 강장제로 쓰이고 있으며 중국 한의학에서는 필요한 50가지 생약 중 하나로 여겨진다. 1. 오미자의 음식 궁합감초 : 오미자와 감초를 달여 마시면 기침이 완화된다.맥문동, 인삼 : 여름의 음청류 중 하나로 생맥산이란 음청류가 있는데 이는 땀을 지나치게 흘려 나른할 때 원기.. 2025. 4. 13. 위장을 강하게 하고 영양이 충실한 가을의 보약 밤 밤은 너도밤나무 과 밤 속의 과수이며 밤 가시라고도 한다.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등이 원산지이다. 일반 과실류에 비해 수분함량이 낮고 전분 함량이 높은 과실로 주로 식용되거나 약용으로 많이 쓰이기도 하며, 가공식품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다.밤의 종류는 대보 등 18종류가 있으며, 숙기 별로는 중생종, 만생종, 조생종으로 분류한다. 밤의 품질은 유전적인 특성과 나무의 영양상태, 재배 환경조건에 따라 차이가 있다.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좋은 밤의 세계적 산지로 알려져 「삼국지」'위지동이전 마한조'에 "마한에서 굵기가 배만 한 밤이 난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후한서'에도 우리나라 밤에 대한 기록이 있다.우리나라 밤은 서양 밤에 비해 육질이 좋고 단맛이 강해서 우수한 품종으로 꼽힌다. 밤은 관혼상제 때 필수적인.. 2025. 4. 12. 머리를 좋게 하는 10월의 대표 간식 땅콩 땅콩은 콩과의 한해살이풀이며 두류 중 유일하게 열매가 땅속에서 열리는 종류로 땅콩이라고도 하고, 지방과 단백질을 많이 함유한 고열량 식품으로 식용으로 직접 이용하거나 식용유, 버터, 마가린 등의 다양한 분야에 이용된다.남미 브라질이 원산지로 세계 각지로 전해진 것은 아메리카 신대륙 발견 이후이며, 우리나라는 1778년 정조 때 중국으로부터 전해진 것으로 추정되며 호콩이라 부른다. 한자로는 꽃이 지고 그 꼬투리가 땅속을 파고 들어가서 열매를 맺는다고 하여 낙화 송이라 한다.땅콩은 호두와 함께 대표적인 견과류이며 중국에서는 장 생과라 해서 깨와 함께 장생 견과류로 귀한 식품으로 취급했으며, 현재 땅콩의 최대 생산지는 미국, 인도, 중국이다.최근에는 땅콩을 새싹으로 키운 새싹 나물이 식품소재로 그 이용도가 증.. 2025. 4. 11. 성장기 어린이에게 좋은 땅에서 자라는 달걀 토란 토란은 땅속의 알이란 뜻으로 천남성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인 덩이줄기로 인도와 중국 남부지방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는 '향약구급방'에 기록된 것으로 보아 고려 이전에 전해 내려온 것으로 추정된다.'신간구황촬요'에서는 "토란을 달여 먹으면 양식 같아서 배고프지 아니하다" 하였고, '고사 촬영'에서는 "물 가깝고 비옥한 곳에 심었다가 가물면 물을 주고 김을 자주 매어주면 수확을 배가되게 하여 구황식품으로 쓰였다"고 한다.알밤같이 생긴 토란은 하얀 감자와 비슷하며 예전엔 추석날이나 먹을 수 있는 귀한 명절 음식이었다. 또한 덩이줄기뿐만 아니라 토란대도 나물해 먹거나 말렸다가 육개장 등에 넣고 끓여 먹었다. 또 큰 토란잎은 시골에서 갑자기 비가 올 때 우산 대용으로도 사용하였다.토란의 녹말은 입자가 .. 2025. 4.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