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5

머리를 맑게 해주는 다섯 가지 맛을 가진 오미자 오미자는 낙엽 활엽 덩굴식물이며 열매는 거의 둥글고 포도송이처럼 달린다. 전국 산기슭 특히 돌이 많은 비탈진 곳에서 서식하며 한국과 일본, 중국, 러시아 동북부에 분포되어 있다. 쓴맛, 신맛, 단맛, 짠맛, 매운맛 등 다섯 가지 맛을 가졌다고 해서 오미자라고 한다. 빨갛게 익은 열매를 가을에 채취하여 시루에 찐 뒤 햇볕에 말려서 사용하며 말린 열매를 물에 담가 붉은 물을 우려낸 뒤 화채 국물로 쓰거나 차를 끓여 마신다고 하여, 한방에서는 강장제로 쓰이고 있으며 중국 한의학에서는 필요한 50가지 생약 중 하나로 여겨진다. 1. 오미자의 음식 궁합감초 : 오미자와 감초를 달여 마시면 기침이 완화된다.맥문동, 인삼 : 여름의 음청류 중 하나로 생맥산이란 음청류가 있는데 이는 땀을 지나치게 흘려 나른할 때 원기.. 2025. 4. 13.
위장을 강하게 하고 영양이 충실한 가을의 보약 밤 밤은 너도밤나무 과 밤 속의 과수이며 밤 가시라고도 한다.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등이 원산지이다. 일반 과실류에 비해 수분함량이 낮고 전분 함량이 높은 과실로 주로 식용되거나 약용으로 많이 쓰이기도 하며, 가공식품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다.밤의 종류는 대보 등 18종류가 있으며, 숙기 별로는 중생종, 만생종, 조생종으로 분류한다. 밤의 품질은 유전적인 특성과 나무의 영양상태, 재배 환경조건에 따라 차이가 있다.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좋은 밤의 세계적 산지로 알려져 「삼국지」'위지동이전 마한조'에 "마한에서 굵기가 배만 한 밤이 난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후한서'에도 우리나라 밤에 대한 기록이 있다.우리나라 밤은 서양 밤에 비해 육질이 좋고 단맛이 강해서 우수한 품종으로 꼽힌다. 밤은 관혼상제 때 필수적인.. 2025. 4. 12.
머리를 좋게 하는 10월의 대표 간식 땅콩 땅콩은 콩과의 한해살이풀이며 두류 중 유일하게 열매가 땅속에서 열리는 종류로 땅콩이라고도 하고, 지방과 단백질을 많이 함유한 고열량 식품으로 식용으로 직접 이용하거나 식용유, 버터, 마가린 등의 다양한 분야에 이용된다.남미 브라질이 원산지로 세계 각지로 전해진 것은 아메리카 신대륙 발견 이후이며, 우리나라는 1778년 정조 때 중국으로부터 전해진 것으로 추정되며 호콩이라 부른다. 한자로는 꽃이 지고 그 꼬투리가 땅속을 파고 들어가서 열매를 맺는다고 하여 낙화 송이라 한다.땅콩은 호두와 함께 대표적인 견과류이며 중국에서는 장 생과라 해서 깨와 함께 장생 견과류로 귀한 식품으로 취급했으며, 현재 땅콩의 최대 생산지는 미국, 인도, 중국이다.최근에는 땅콩을 새싹으로 키운 새싹 나물이 식품소재로 그 이용도가 증.. 2025. 4. 11.
성장기 어린이에게 좋은 땅에서 자라는 달걀 토란 토란은 땅속의 알이란 뜻으로 천남성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인 덩이줄기로 인도와 중국 남부지방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는 '향약구급방'에 기록된 것으로 보아 고려 이전에 전해 내려온 것으로 추정된다.'신간구황촬요'에서는 "토란을 달여 먹으면 양식 같아서 배고프지 아니하다" 하였고, '고사 촬영'에서는 "물 가깝고 비옥한 곳에 심었다가 가물면 물을 주고 김을 자주 매어주면 수확을 배가되게 하여 구황식품으로 쓰였다"고 한다.알밤같이 생긴 토란은 하얀 감자와 비슷하며 예전엔 추석날이나 먹을 수 있는 귀한 명절 음식이었다. 또한 덩이줄기뿐만 아니라 토란대도 나물해 먹거나 말렸다가 육개장 등에 넣고 끓여 먹었다. 또 큰 토란잎은 시골에서 갑자기 비가 올 때 우산 대용으로도 사용하였다.토란의 녹말은 입자가 .. 2025. 4. 10.
화합할 줄 알며 자기 색을 잃지 않는 생강 생강은 생강과 생강 목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원산지는 인도와 말레이시아 등으로 알려져 있다. 옛날에는 한 근의 생강이 양 한 마리와 같은 높은 가격이었으며, 생강의 원산지인 인도의 전통 의학 '아유르베다'에서는 생강을 "신이 내린 선물"이라 부르고 이슬람 성전 '코란'에는 생강을 "하늘로부터 받은 성스러운 영혼"이라 표현하기도 했다.우리나라에서는 '고려사','향약구급방' 등의 기록으로 보아 고려시대 이전에 재배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동의보감'에는 "말린 생각은 소화제의 기능을 담당하고 양기를 돋우며 오장육부의 차가운 기운을 제거하는 데 좋다"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음식디미방'에도 사용법이 남아 있다. 이율곡 선생은 "화합할 줄 알며 자기 색을 잃지 않는 생강이 되어라."라고 생강에 비유하여 가르.. 2025. 4. 9.
착하고 맛있는 국민건강 간식 옥수수 옥수수는 볏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식물로 15세기경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신대륙 발견의 함께 인디언들이 생식하던 것이 유럽에 전파된 것으로 쌀, 밀 다음으로 많이 생산되는 세계 3대 작물 중 하나이다. 우리나라에는 중국으로부터 전해 내려왔으며, 1700년경 우리나라에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옥수수는 지방에 따라 옥시기, 옥수 시, 옥 쉬이 등으로 불리고 있으며 강냉이, 깡 냉이 등 다양한 이름도 있다. 옥수수는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는 강한 식물로 우리나라에서 생산량이 많은 강원도에는 강냉이밥, 강냉이 수제비, 강냉이범벅 등과 같이 주식이나 별식으로 이용한 다양한 향토 음식이 많다. 옥수수는 궁핍했던 시절에 주식으로 먹었던 작물로 밥을 대신할 수 있었던 중요한 구황식품이었다.  1. 옥수수의 종류, 구.. 2025. 4. 8.